남극(南極)은 지구의 최남단에 있는 대륙으로, 한가운데 남극점이 있다. 남극 대륙은 거의 대부분 남극권 이남에 자리잡고 있으며, 주변에는 남극해가 있다. 면적은 약 14,000,000 km²로서 아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에 이어 다섯 번째로 큰 대륙이다. 남극의 약 98%가 얼음으로 덮여 있는데, (얼음으로 덮이지 않은 면적은 약 280,000 ㎢에 불과함) 이 얼음은 평균 두께가 1.6km에 이른다.
 
남극은 지구상에서 가장 추운 지역이다. 1983년 7월 21일 소비에트 연방의 보스토크 남극 기지에서 -89.2℃가 기록되었다. 남극은 해발 고도가 가장 높은 모든 대륙이기도 하다.[1] 또한 남극은 지구상에서 가장 큰 사막으로, 해안의 강수량은 겨우 200mm에 불과하고 내륙은 더욱 적다. [2] 이곳에는 인간이 정착한 거주지는 없으며, 다만 여름에는 4,000명, 겨울에는 1,000명의 사람이 이 대륙에 산재한 연구 기지에서 생활하고 있다. 추위에 적응한 동식물만이 남극에 사는데 여기에는 펭귄, 물개, 지의류(地衣類)의 식물, 그리고 여러 종류의 조류(藻類)가 있다.
 
남극의 영어 명칭인 Antarctica는 ‘북극의 반대쪽’을 뜻하는[3] 고대 그리스어 합성어 안타르크티코스(ανταρκτικός)의 여성형인 안타르크티케(ανταρκτική)에서 비롯되었다.[4] 예로부터 남쪽 땅(Terra Australis)에 대한 신화와 추측이 있었는데, 인간이 남극을 처음으로 확실하게 본 것은 1820년 미하일 라자레프와 파비안 고틀리프 폰 벨링스하우젠의 러시아 탐험대라고 한다. 그러나 발견 이후 19세기에는 남극의 적대적인 환경, 자원 부족, 고립된 위치 때문에 사람들은 이 대륙을 무시하다시피 하였다. 1890년대에 처음으로 이 대륙을 "Antarctica"로 공식 명명한 것은 스코틀랜드 지도 제작자 존 조지 바르톨로뮤라고 한다.
 
남극 조약은 1959년 12개국이 처음 체결하였으며, 지금까지 서명한 국가는 46개국에 이른다. 이 조약은 군사 행동과 광물 자원 채굴을 금지하는 한편, 과학적 연구를 지원하고 대륙의 생태 환경을 보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현재 1,000명 이상의 여러 나라의 과학자가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고 있다.[5]
 
남극 조약에 따라 영유권 선언이 금지되어 있지만, 노르웨이, 뉴질랜드, 아르헨티나,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칠레, 프랑스는 남극의 일부를 자국의 영토라고 주장하고 있다. 남극에는 어떤 국가의 주권도 미치지 않으며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 아이레스에 있는 남극조약사무국에서 관리하고 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남극의 일부분이 녹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남극 탐험 역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남극의 역사입니다.
 
남극 대륙은 원주민도 살지 않았으며, 남극은 18세기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지구상에 최후까지 남겨진 미지의 대륙이었던 남극대륙의 탐험은 18세기에 시작되었다.
 
남극 탐험 역사
 


탐험연도
 
탐험가
 
탐험용 이동수단
 
성과
 


1775년
 
영국 제임스 쿡
 
레졸루션호
 어드벤처호
 
처음으로 남극권 돌파
 


1895년~1899년
 
벨기에 아드리엔 드 겔라쉬
 
-
 
남극해에 처음 월동함
 


1901년~1903년
 
영국 로버트 스콧
 
디스커버리호
 
세계 최초의 남극 상공 사진 찰영, 남극점으로 가는 길 최초로 발견, 최남단에 사는 식물 발견, 새로운 육지 발견
 


1907년~1909년
 
영국 어니스트 섀클턴
 
님로드호
 
최초로 남위 88도 23분에 도달 및 최초의 자남극점 발견 및 수많은 자료 얻음
 


1911년~1913년
 
노르웨이 로알 아문센
 
프람호
 
최초의 남극점 정복
 


영국 로버트 스콧
 
테라노바호
 
두 번째 남극점 정복(아문센이 먼저 정복). 끝까지 희망을 잃지 않았으나 로버트 스콧 사망
 


1914년~1916년
 
영국 어니스트 섀클턴
 
인듀어런스호
 
최초의 남극 대륙 횡단 시도. 배가 난파된 상황에서 634일만에 섀클턴을 포함한 28명의 대원을 모두 구조해 '위대한 실패'로 기록
 


1928년
 
오스트레일리아 조지 헐버트 윌킨스
 
단엽기 두 대
 
남극반도 북부~중부 일대 항공사진 찰영
 


1929년
 
미국 리처드 에블린 버드
 
비행기
 
세계 최초로 비행기로 남극점 정복
 


1946년~1947년
 
배 13대 및 비행기 23대
 
하이점프 작전. 4000명 이상의 사람 동원. 남극대륙의 1/4이상이 비행기로 관찰된 이 작전에서 웨델 해를 제외한
 서남극-로스 해-동남극 해안 60% 이상에 걸쳐 7만장 이상의 사진이 촬영되었고 남극해안선 25%가 처음으로 관찰됨
 


1955년~1958년
 
영국 비비안 어니스트 훅스
 뉴질랜드 에드몬드 힐러리
 
-
 
세계 최초로 남극 대륙 횡단(종단)
 


1972년
 
오스트레일리아 데이빗 루이스
 
요트 아이스 버드호
 
시드니-미국 파머 기지로 약 9000km를 항해
 


1980년~1982년
 
영국 라눌프 핀즈
 
-
 
세계 최초로 개인이 남극 대륙 종단. 세계 최초로 남북극점 모두 정복
 


1985년
 
대한민국 한국 남극 관측 탐험대
 
-
 
세계 6번째로 남극 최고봉 빈슨매시프산 등정 성공
 


1989년~1990년
 
프랑스, 영국,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
 국제남극종단탐험대
 
-
 
개 썰매로 7달 만에 6400km를 남극에서 가장 먼 길로 남극대륙을 횡단.
 남극 반도 끝--러시아 보스토크 기지--러시아 미르니 기지
 


1994년
 
대한민국 허영호
 
(없음)
 
한국 최초로 남극점 정복. 개 썰매나 설상차를 쓰지 않고 44일이란 아주 짫은 시간만에 남극점 정복(1993년 일본이 67일
 이란 기록은 세운 것에 비해 놀라운 기록). 그러나 남극 해변 46km 덜어진 곳에서 출발한 점이 문제가 되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함.
 


2004년
 
대한민국 박영석
 
(없음)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루트로 남극점 정복. 물자 지원 없이 44일만에 남극점 정복(영국이 48일 걸린 것에 비해 놀라운 기록).
 후에 2005년 탐험가 그랜드슬램을 세계 최초로 달성

+ Recent posts